Quick Menu

Quick Menu

Quick Menu

커뮤니티

진료시간

  • 평일 09:30 ~ 18:00
  • 수요일 09:30 ~ 13:30
  • 토요일 09:30 ~ 13:30
  • 점심시간 13:00 ~ 14:00

2,4째주 토요일 휴진/공휴일, 일요일 : 휴진
(종료 30분전 접수마감)

02-2675-2675

안과강좌

  • 커뮤니티
  • 안과강좌

제목

‘사시’ 10대 이하 84.9%, 2세 이전에 수술해야 효과

사시(斜視, strabismus)는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시력 장애를 말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사시’ 진료인원은 10대 이하(0세~19세)가 84.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은 10대 이하가 진료인원의 83.9%(9세 이하 57.7%, 10대 26.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도 10대 이하가 진료인원의 85.9%(9세 이하 58.7%, 10대 27.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김혜영 교 수는 사시의 치료목적을 △정상적인 시력 발달 △양안시기능의 회복 △눈의 위치를 바르게 하여 외관을 보기 좋게 하기 위함이라고 전하며 사시가 주로 나타나는 시기, 치료방법, 치료 시기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q. 사시가 주로 나타나는 시기는 언제인가

사시의 종류

a.사시는 소아에게 흔한 나타나는 현상으로 국내 소아의 약 2%에서 나 타난다.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시기가 다양하나 영아사시는 6개월 이전에, 조절내사시(안구가 원시를 극복하려고 조절을 하면서 발생하는 사시)는 18개월경 나타나며, 간헐외사시(한눈 또는 양눈이 교대로 가끔 바깥으로 돌아가는 것)는 3~4세 전후에 나타나기 시작 한다.

q. 사시를 조기 치료해야 하는 이유는

a.시력이 완성되기 전에 사시가 나타나는 경우 시력발달 장애로 인해 약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약시의 치료는 반드시 8세 이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시 력에 영향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사시를 방치하면 양안시(좌우 양쪽의 눈으로 상(像)을 보는 경우) 기능장애로 입체시(양쪽 눈으로 대상을 주시할 때 대상의 입체감이 느껴지는 기능)의 저하가 나타나며, 특히 사춘기 청소년의 경우 외관상의 이유로 심리적 위축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q. 사시 치료 방법과 치료 최적 시기는

a.사시치료는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는 굴절이상이 있는 경우 안경 을 착용하고, 필요에 따라 프리즘 안경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약시가 동반된 경우에는 이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다.

사시 수술 방법

수술적 치 료의 경우 융합상태, 사시각의 크기, 환자의 나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사시수술은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의 위치를 옮거나 길이를 조절하여 눈의 위치를 바로잡아준다.

사시의 종류, 사시의 정도(사시각의 크기) 에 따라 수술하는 근육의 개수와 수술 방법이 결정되며 출생 직후 나타나는 영아사시는 생후 4~5개월경부터 수술할 수 있으며 늦어도 2세 이전에는 수술을야 효과적이다.

굴절이상으로 인해 생기는 조절내사시는 조절마비굴절검사 후 안경착용이 치료원칙이다. 성장하면서 나타나는 사시는 나타나는 빈도와 사시각을 고려하여 치료 시기를 결정하나 수술이 필요한 경우 초등학교 입학 전에 교정해주는 것이 좋다.

q. 집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사시의 증상은

a.한 눈이 코나 귀 쪽으로 향 해 있거나 초점이 풀려 보일 수 있고 햇빛이나 밝은 빛을 보면 한눈을 찡그리는 증상을 보이기도 하며, 눈의 피로나 두통을 호소하거나 물을 볼 때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고 보거나 턱을 치켜들거나 반대로 고개를 숙이는 증상, 또는 머리를 한쪽으로 갸우뚱하게 기울 이는 등의 증상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소아 사시환자의 경우 환자 자신은 증상이 없이 보호자 혹은 주변 사람들에 의해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만일 위와 같은 증상이 보이면 사시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다.

q. 성인에서 사 시가 나타나는 원인과 치료법은

성인에서 나타나는 사시의 대표적인 원인은 뇌신경 마비에 의한 마비성 사시, 갑상선질환이나 안와질환에 의한 외안근의 이상, 근무력증과 같은 전신질환 등이 있다. 복시 등의 증상 유무와 사시각의 크기에 따라 프리즘 안경 착용이나 수술적 치료가 가능하며, 근무력증과 같은 질환은 전신적인 검사와 약물치료가 필요하므로 성인이 되어 새로 발생한 사시의 경우 원인에 대한 감별이 매우 중요하다.

<사진 = 국가건강정보포털, 보건복지부>

출 처: 건강이 궁금할 때, 하이닥 (www.hidoc.co.kr)